전체 글 (65) 썸네일형 리스트형 [대학원-자료구조 3] 기타 정렬 알고리즘 - MergeSort, QuickSort 기타 정렬 알고리즘 - Merge-Sort, Quicksort : Recursive한 알고리즘(ChatGPT)두 알고리즘 모두- 비교 기반 정렬 알고리즘- Divide-and Conquer(분할 정복) 기법 활용- Recursive한 알고리즘1) MERGE-SORT(ChatGPT)- Merge Sort는 분할 정복(Divide-and-Conquer)을 활용하는 정렬 알고리즘으로, 이 MERGE 함수는 두 개의 정렬된 부분 배열을 병합하여 최종적으로 정렬된 하나의 배열로 만드는 핵심 역할을 함- Merge Sort는 재귀적으로 배열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정렬한 뒤, 그 정렬된 부분을 병합(merge)하는 과정에서 정렬을 완성- 이 MERGE 함수는 두 개의 정렬된 배열을 받아 하나의 정렬된 배열로 합치는 .. [대학원-자료구조 1~2] Tree와 Graph, Heap 자료구조 : 상황에 맞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함- 선형적 관계 : 배열, 링크드 리스트- 계층적 관계 : 트리- 연결관계 : 그래프 ※ 코드잇 마저 수강한 후 보충하기, 과제 등 1페이지 보면서 보충하기1. Tree와 Graph1) GraphGraph- 연결할 객체를 나타내는 정점(Vertex)와 객체를 연결하는 간선(Edge)의 집합으로 구성- 연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 구조- 예시 : 다양한 연결 관계① Undirected Graph (무향 그래프) G(V, E)에서- V = {노드들의 원소} : 정점의 집합- E : the set of unordered point of V ② Directed Graph (유향 그래프) G(V,E)에서- V = {노드들의 원소} : 정점의.. [코드잇-자료구조3 : 그래프의 구조와 탐색] 2. 그래프 탐색 본 게시물은 코드잇의(codeit) 자료구조 시리즈 강의 세번째 주제인 '그래프의 구조와 탐색'을 듣고 정리한 게시물임을 알려드립니다.- 강의 url : https://www.codeit.kr/topics/graphs 그래프의 구조와 탐색 - 알고리즘 · 자료구조 강의 | 코드잇교통 앱에서 지하철역간 최단 거리를 알려주거나 SNS에서 사람들의 친구 관계를 볼 수 있는 것처럼,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있습니다. 그래프는 연결 관계를 가지www.codeit.kr1. 그래프 탐색이란?그래프 탐색보통 자료구조에서 말하는 탐색 :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찾아내는 것그래프 탐색 : 하나의 노드를 시작점으로 해서 연결된 노드들을 모두 찾는 것을 의미- 그래프를 탐색할 때 시작점 .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··· 22 다음